대구형 돌봄통합 방향 모색… ‘2025 공공보건의료 심포지엄’ 개최 의료·요양·돌봄 통합 시행 앞두고 각 분야별 전문가 한자리에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
2025년 09월 14일(일) 14:45 |
![]() 대구형 돌봄통합 방향 모색… ‘2025 공공보건의료 심포지엄’ 개최 |
심포지엄은 9월 12일 오후 1시, 대구의료원 대강당에서 진행됐으며, 대구시 보건·복지 공무원 및 공공보건의료 유관기관 종사자 등 280여 명이 참석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1부에서는 박종명 대구의료원 공공의료본부장이 좌장을 맡아 ▲다학제간 재택의료 소개를 시작으로, ▲대구형 돌봄통합지원 정책 모델 발굴 ▲보건·의료의 준비와 역할에 대한 주제 발표를 진행했다.
이날 발표를 통해 재택의료가 단순한 의료 처치를 넘어, 의사·간호사·물리치료사·사회복지사 등 다학제 팀이 구성돼 치료·예방·재활은 물론 복지 연계까지 수행하는 통합적 서비스임이 소개됐다.
또한, 참석자들은 대구형 돌봄통합 모델의 구체적인 사업추진 절차와 주체별 역할 분담을 이해하고, 향후 보완할 점과 각자의 역할에 대해 고민해 보는 계기를 가졌다.
2부에서는 김건엽 경북대학교 공공부원장을 좌장으로 해, 대구시 의사회, 재택의료기관,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역책임의료기관, 행정복지센터 등 돌봄통합지원을 실제 수행하는 기관 대표 7명이 패널로 참여해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이들은 각 기관의 준비 현항과 협력이 필요한 사항을 공유하며, 통합지원 체계의 현실적인 장애요인과 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허심탄회하게 논의했다.
심포지엄에 참석한 권선영 달성군보건소장은 “그동안 돌봄통합에 대한 개괄적인 이해는 하고 있었지만, 역할이 막연하게 느껴졌다”며, “이번 심포지엄을 통해 보건의료 분야의 역할과 타 분야와의 연계 방안을 구체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달성군은 타 구와는 다른 지역적 특성이 있는 만큼, 우리 지역에 맞는 준비를 철저히 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김태운 대구광역시 보건복지국장은 “그간 개별적으로 추진해 왔던 보건·복지·요양을 하나의 통합된 체계로 만들어 간다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닐 것”이라며, “이번 심포지엄이 각자의 분야를 이해하고 협력해 나가는 출발점이 되길 바라며, 대구 시민들이 지내던 곳에서 필요한 돌봄을 받으며 편안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고 말했다.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