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노후화된 시외버스터미널 민간 매각 추진 시민 편의 증진, 광역교통 허브 도약 위한 최적의 선택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 |
2025년 08월 26일(화) 16:33 |
![]() X |
시는 매각을 통해 고속터미널과 유사한 형태의 민간 창의적 투자를 유치, 터미널을 교통·문화·상업이 어우러진 복합공간으로 조성해 시민 편의를 높이고 지역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1999년 건립된 청주시외버스터미널은 대규모 보수 없이 운영되면서 노후화가 심각하다.
이에 따른 시민 불편과 안전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청주의 관문으로서 도시 이미지와 시민 자긍심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시는 당초 2016년 고속터미널과 동시에 매각을 검토했으나, 두 터미널의 동시 매각·현대화 추진 시 교통 혼란이 우려돼 고속터미널 사업을 마친 뒤 시외터미널을 매각하는 방안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이에 따라 고속터미널 현대화사업이 완료된 올해를 매각의 적기로 보고 있다.
민간 매각으로 확보되는 약 1,000억~1,200억 원의 재정은 청주 주요 생활 SOC 및 시민 편의 증진 사업에 투입될 예정이다.
시가 직접 개발할 경우 신축(약 700억 원) 또는 리모델링(약 500억 원) 등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면, 민간 참여를 통한 효율적 추진이 적절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현행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상 청주시의 경우 공영터미널 설치·운영 요건에 해당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공영 체제로 운영돼왔으며, 소유(청주시)와 경영(민간)이 분리되면서 운영 불안정과 서비스 질 저하를 초래해 왔다.
국토교통부의 연구('여객자동차터미널 수익성 개선 및 기능유지를 위한 표준사업 모델 마련') 역시 터미널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민간 자본 참여와 복합개발을 권장하고 있으며, 청주고속터미널 현대화사업이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히고 있다.
한편, 시는 일부에서 제기되는 ‘터미널 이전’ 주장은 현실성이 낮다고 밝혔다.
시민 합의 도출이 어렵고, 신규 터미널 신설에는 700억~1,000억 원 이상의 재정과 막대한 행정력이 소요된다.
또한 청주시 도시기본계획의 핵심 시설인 현 터미널을 이전할 경우 충청권 광역교통축이 약화돼 장기 도시성장 전략과 상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시외버스터미널 매각은 단순한 자산 처분이 아니라, 시민들의 교통 편의성과 청주의 미래 교통·도시 전략을 동시에 고려한 최적의 선택”이라며 “확보된 재원을 통해 시민들에게 더 나은 생활환경을 제공하고, 청주가 충청권 광역교통의 핵심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채연 기자 news@sisatopic.com